4. 문제를 통해 배우는 쿠버네티스
4.1 파드에 문제가 생겼다면#
- 파드를 실수로 지웠다면?
- 파드만 배포된 경우 → 난감
 - 디플로이먼트 형태로 배포된 파드 → 다시 살려냄
 
 - 쿠버네티스가 파드를 대하는 자세
- 죽을수도 있지
 
 - 삭제 실습
 
4.2 워커 노드의 구성 요소에 문제가 생겼다면#
- Kubelet 은 선언적이 아니라 문제가 생기는 경우 바로 복구되지 않음
 
kubelet 중단 실습
container runtime (docker) 중단 실습
- container runtime 문제는 kubelet이 인식해서 api 서버에 전달
- 이후 스케줄러가 문제되는 container runtime을 가지는 워커노드를 인식해서 해당 노드로 스케줄링하지 않음
 
 
추가 배포를 통해 스케줄러 역할 확인
- conatiner runtime 을 살린 다음 scale-out 하면?
- 균형있게 배포해줄까?
 
 
4.3 마스터 노드의 구성요소에 문제가 생겼다면#
스케줄러는 한번 삭제해본다면?
마스터노드의 kubelet이 종료된다면?
container runtime 을 삭제한다면?